도심을 걷다가, 혹은 한적한 시골길을 지나다가 예상치 못하게 유기견을 마주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겉보기에 귀엽고 온순해 보여도 유기견은 보호가 필요한 '위험에 처한 동물'입니다. 이때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확한 절차와 연락처, 그리고 말해야 할 핵심 정보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기견을 발견했을 때 누구나 바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행동 지침과 신고 요령을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유기견을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 신체적 위협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유기견은 배고픔, 스트레스, 두려움에 의해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절대 갑자기 다가가거나 만지지 말고, 안전한 거리에서 관찰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 위치 파악 및 기록
발견한 정확한 위치(주소, 근처 지형지물)를 기억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위치를 저장해두세요. 이 정보는 신고 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 사진 및 영상 확보 (가능한 경우)
유기견의 외모, 상태, 목줄 여부, 주변 환경 등을 촬영해두면 이후 구조나 보호소 연계에 큰 도움이 됩니다.
어디에 신고해야 하나요?
유기견 발견 시에는 지역별로 관할이 다를 수 있으나, 전국 어디서든 다음 기관에 신고가 가능합니다.
1.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농림축산식품부)
- 전화번호: 1588-9060
- 운영시간: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 제공 서비스: 관할 시·군·구 동물보호센터로 접수 연계
2. 각 지방자치단체 동물보호센터
- 시·군·구청 축산과 또는 동물보호팀으로 문의
- 예) 서울시 강남구청 축산과: 02-3423-6264
- 관할 지자체의 홈페이지나 120 다산콜센터(서울)로 문의 시 안내 가능
3. 유기동물 보호센터 직접 신고
- 포털 검색에서 “○○시 유기동물 보호센터”로 검색
- 일부 보호센터에서는 홈페이지 또는 전화접수 가능
4. 경찰 또는 소방서 (긴급상황 시)
- 차량이 많은 도로변, 학대 흔적이 있는 경우 등 긴급 구조가 필요하면 112 또는 119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단, 일반적인 유기견 발견은 동물보호센터 신고가 우선입니다.
뭐라고 이야기해야 할까? (신고 시 말해야 할 내용 예시)
신고 시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를 명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 “유기견을 발견했습니다. 현재 위치는 ○○시 ○○구 ○○동 ○○근처입니다.”
- “강아지는 소형견이고, 목줄은 없습니다. 겁을 많이 먹고 도망다닙니다.”
- “사진이 있으니 필요하시면 보내드릴 수 있습니다.”
- “혹시 보호소에서 구조가 가능한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위와 같이 구체적인 외형 정보, 행동, 위치를 중심으로 설명해주시면 접수 처리와 구조가 훨씬 수월합니다.
유기견을 구조해 임시 보호하고 싶은 경우
일시적으로 보호가 가능한 상황이라면, 구조 후 아래와 같은 절차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 동물병원 방문
건강상태 확인 및 마이크로칩 등록 여부 확인
(등록된 유기견일 경우 보호자가 바로 확인될 수 있습니다.) - 임시 보호 의사 알리기
신고 시 “제가 구조해서 당분간 보호하겠습니다”라고 말하고, 연락처를 남기면 보호소 측과 협력 가능합니다. - 온라인 커뮤니티 활용
“포인핸드”, “동물자유연대”, “유기동물 사랑모임” 등 커뮤니티에 보호 중임을 게시해 분실견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단, 모든 유기견이 구조자의 임시 보호에 적합한 상태는 아닙니다. 공격성, 질병, 탈진 상태 등을 고려해 무리한 구조는 피하고, 전문가(보호센터 등)의 도움을 요청하세요.
유기견을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
유기견은 교통사고, 굶주림, 학대, 전염병 등 여러 위험에 노출되며, 방치 시 **동물학대죄(동물보호법 위반)**에 해당될 수도 있습니다. 목격자의 적극적인 신고는 한 생명을 살리는 행동이며,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도덕적·사회적 책임입니다.
유기견을 목격했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관심’과 ‘신고’입니다. 두려워하거나 외면하지 마시고, 위에서 소개한 정확한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해주신다면 구조와 보호가 훨씬 빠르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제는 우리 모두가 길 위의 동물들에게 조금 더 따뜻한 시선을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유기견은 단순한 유실물이 아니라, 인간의 무책임으로 인한 피해자이기 때문입니다.
필요하시면 지역별 동물보호센터 연락처나 신고 예시 메시지를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강아지 > 반려견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목욕 주기, 얼마나 자주? (1) | 2025.05.24 |
---|---|
솜사탕 같은 강아지, 비숑 프리제의 모든 것 (0) | 2025.05.22 |
강아지가 꽃을 먹어도 될까? 반려견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꽃과 식물의 진실 (0) | 2025.04.23 |
강아지 하루 수면시간: 적정량과 수면 부족의 위험성 (1) | 2024.12.31 |
강아지 혈변과 점액질 대변: 원인, 증상, 해결책 및 예방 방법 (3)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