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사상충이란 무엇인가?
심장사상충의 학명은 'Dirofilaria immitis'입니다. 이 기생충은 주로 개를 숙주로 하며, 그 형태는 실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사상'이라는 이름은 실 사(絲)자와 형상 상(狀)자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기생충은 개에게만 특화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동물에게 감염될 수 있지만, 개에서는 특히 빠르게 성장합니다. 사람 몸속에 들어가더라도 크게 성장하지 못하고 결국에는 죽게 됩니다.
감염 경로와 증상
-감염 경로
심장사상충은 주로 '모기'를 매개로 감염됩니다. 이미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개를 모기가 물면, 심장사상충의 유충이 모기를 통해 다른 개에게 전파됩니다.
-증상과 진행
이 유충들은 개의 몸속에서 무럭무럭 성장하여 폐동맥과 심장에 자리를 잡게 됩니다. 성충으로 자라면 길이가 30cm에 달하는 긴 기생충이 되어 심장과 폐동맥을 막게 됩니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성충이 자라고 나면 혈액 순환이 어려워져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복수가 차고 몸이 붓게 됩니다.
예방과 치료
-예방약의 중요성
심장사상충 예방은 매우 중요하며, 다양한 형태의 예방약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예방약은 간식 형태로 제공되거나, 바르는 약 형태로도 있습니다.
-겨울철 예방 중단?
겨울철에는 모기 활동이 줄어들어 예방을 중단할 수 있지만, 다시 시작할 때는 반드시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감염 여부는 특별한 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하게 예방약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예방이 최선의 치료
심장사상충은 예방이 가능한 질병입니다. 따라서 반려견을 키우는 분들은 반드시 주기적으로 예방약을 투여해야 하며, 감염 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반려견의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또한, 수의사와의 상의를 통해 개별적인 예방 및 치료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 > 반려견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의 발바닥 관리와 주의사항 (0) | 2023.09.06 |
---|---|
노령견, 노령묘의 조심해야할 질환과 건강 관리 (0) | 2023.09.04 |
강아지 체리아이. 원인부터 치료방법까지 (0) | 2023.08.30 |
강아지의 안구건조증 이해하고 예방하기 (0) | 2023.08.27 |
강아지 전립선 질환 예방방법 (0) | 202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