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아지를 키우는 보호자라면 반려견의 건강을 위해 항상 주의 깊게 살피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강아지에게 흔히 발생하는 비뇨기 질환 중 하나인 방광염의 증상, 원인,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강아지가 피오줌을 싸는 이유와 예방법도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방광의 역할과 위치
방광은 요관을 통해 흘러온 소변을 일정 시간 저장한 뒤 요도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근육성 기관입니다. 수컷의 방광은 직장과 치골결합 사이에, 암컷의 방광은 질이나 자궁 사이에 위치합니다.
강아지 방광염의 원인
강아지가 방광염에 걸리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세균성 방광염
- 주로 암컷에게 발병률이 높습니다. 수컷의 요도는 가늘고 길어 세균의 침입이 어렵고, 전립선이 세균 감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입니다.
- 결석에 의한 방광염
- 요도나 방광에 여러 가지 미네랄이 붙어 결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석이 염증을 유발해 방광염이 생길 수 있으며, 주로 수컷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 외부적 요인
- 야외 배변 습관: 강아지가 소변을 참아야 하는 경우 방광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과도한 마킹: 소변을 쥐어짜듯 자주 마킹하는 경우 방광에 무리를 주어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소변을 제때 싸지 못해 방광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 방광염 증상
방광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변 횟수 증가: 강아지가 평소보다 자주 소변을 보는 경우.
- 피오줌(혈뇨):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 소변 악취: 소변에서 평소와 다른 강한 악취가 나는 경우.
- 배뇨 통증: 소변을 볼 때 낑낑거리는 등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 잔뇨감: 소변을 조금씩 자주 보는 경우.
- 식욕 저하: 염증으로 인해 식욕이 줄어드는 경우.
- 발열: 염증 수치가 증가해 체온이 높아지는 경우.
강아지 방광염 치료 및 진단
강아지에게 방광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동물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진단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부 초음파: 방광의 상태와 구조를 살펴봅니다.
- 소변 검사: 세균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 배양 검사: 소변을 채취해 배양 검사를 통해 어떤 세균이 원인인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항생제를 처방합니다.
- 엑스레이: 결석 여부를 확인합니다.
강아지 피오줌의 다양한 원인
강아지가 피오줌을 싸는 이유는 방광염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요로결석
- 신장염
- 혈소판 감소증
- 바베시아 감염증
- 스트레스
- 생리혈
- 종양
- 신부전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강아지가 피오줌을 싸는 경우 즉시 동물병원에 가서 정확한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강아지 방광염 예방 방법
- 수분 섭취 증가
- 강아지의 음수량이 적으면 소변 횟수가 줄어들고 방광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물에 소량의 이온음료를 섞어주어 음수량을 늘려주세요.
- 과도한 마킹 금지
- 산책 시 소변이 나오지 않는데도 과도하게 마킹하는 행동을 통제해야 합니다. 5회 이상 마킹할 경우 적절히 제어해 주세요.
- 청결 관리
- 세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강아지의 생식기를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강아지가 생식기를 자주 핥는 경우 넥카라를 착용시켜주세요.
결론
강아지 방광염은 흔한 비뇨기 질환 중 하나로,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의 건강을 위해 평소에 주의 깊게 살피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해 주세요. 예방을 위해 수분 섭취를 늘리고, 청결을 유지하며, 과도한 마킹을 금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아지와 함께하는 행복한 반려 생활을 위해 항상 건강에 신경 써 주세요.
'강아지 > 반려견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계란 급여방법, 효능, 주의사항 (0) | 2024.07.24 |
---|---|
강아지에게 고구마 급여시 급여량과 주의사항 (1) | 2024.07.24 |
강아지 중성화 수술 시기, 주의사항 및 넥카라 착용 기간 (0) | 2024.07.23 |
강아지 초콜릿 먹었을 때 위험성과 대처법 (2) | 2024.07.23 |
폼피츠. 귀여운 소형견의 탄생 배경과 키우는 방법 (0) | 2024.07.22 |